프로젝트D는 시장이 주목하지 않는 영역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 비즈니스에 기부를 결합한 ‘기부 사업모델’을 육성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시장성과 성장 기회는 적더라도 사회에 꼭 필요한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D메이커’와 함께 사회문제에 관심이 있는 ‘기부 고객’을 발굴하여 지속적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토대를 마련합니다.
사업의 핵심인 기부 사업모델 및 육성 프로그램에 대한 정체성 강화를 위해, 2024년 리브랜딩을 추진했다. Charity Startup Accelerating Program을 의미하는 기존의 ‘CSAP’에서 ‘프로젝트D’로 새롭게 정체성을 수립했으며, 참여하는 육성 팀을 ‘D메이커’라 부른다. 프로젝트D의 D는 사업의 핵심 가치인 혁신(Difference), 데이터(Data), 기부(Donation)를 의미한다.
2024년 프로젝트D는 5기 팀으로 장애, 환경, 청년, 로컬 영역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소셜벤처 ‘인비저블컴퍼니, 라텔즈컴퍼니, 일하는학교, 듣는연구소’ 4개 팀을 발굴하고 기부 프로젝트를 실행했다.
팀명 | 영역 | 사업내용 | |
---|---|---|---|
인비저블컴퍼니 | 장애 | ![]() ![]() | |
솔루션 | 조향 제품 제작 및 클래스 운영을 통한 시각장애인 조향사 양성 | ||
기부 프로젝트 | 시각장애인 4명 대상 조향사 양성과정 운영 | ||
라텔즈컴퍼니 | 환경 | ![]() ![]() | |
솔루션 | 폐타이어 활용 접지력 강화 웨이트 트레이닝 기능화 | ||
기부 프로젝트 | 친환경 활동 지원 및 친환경 구매 영향력 분석 | ||
일하는학교 | 청년 | ![]() ![]() ![]() | |
솔루션 | 자립 절벽을 겪는 청년의 성장과 자립을 위한 기부 펀드 조성 | ||
기부 프로젝트 | 청년 3명 대상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 Slow Steps운영 및 진로 활동 실행 관리 솔루션 doing 개발 | ||
듣는연구소 | 로컬 | ![]() ![]() | |
솔루션 | 지역 내 로컬 활성화 조직의 자립적 문제 진단 및 해결을 위한 실행 연구 | ||
기부 프로젝트 | 도시청년의 로컬 경험 플랫폼 ‘도시쥐 정거장’ 구축 |
프로젝트D 펠로우십은 본 기수에서의 기부 프로젝트 경험을 토대로 기부 사업의 기반을 마련하는 후속 지원 프로그램이다. 후속 기부 프로젝트를 시도하며 기부 사업모델을 완성하고, 장기적인 파트너를 발굴하여 기부 사업모델을 내재화하는 전 과정을 지원한다. 2024년에는 지난 1~4기 참여 팀인 ‘스트레스솔루션, 이지태스크, 에이아이컨트롤, 와이에스케인연구소, 메이크슈어’ 5팀이 프로젝트D 펠로우십으로 후속 기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팀명 | 영역 | 사업내용 | |
---|---|---|---|
에이아이컨트롤 | 장애 | ||
솔루션 | 손 사용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한 특수 마우스 | ||
기부 프로젝트 | 중증 지체장애인 3명 발굴 및 특수마우스 기부 | ||
와이에스케인연구소 | 장애 | ||
솔루션 | 시각장애 아동의 신장에 맞는 경량형 흰지팡이 키트 | ||
기부 프로젝트 | 한빛맹학교 시각장애 아동 20명 대상 흰지팡이 키트 기부 | ||
메이크슈어 | 장애 | ||
솔루션 | 휠체어 사용 장애인 대상 담요+치마 ‘블랭커트’ 제작 | ||
기부 프로젝트 | 휠체어 사용자 7명에 블랭커트 기부 | ||
이지태스크 | 시니어 |
| |
솔루션 | 온라인 시간제 업무 ‘긱 워커’ 양성 | ||
기부 프로젝트 | ‘긱 워커 가이드북’ 제작 및 교육 제공 | ||
스트레스솔루션 | 청소년 | ![]() ![]() | |
솔루션 | 자율신경 안정을 유도하는 맞춤형 생체 사운드 | ||
기부 프로젝트 | 중학생 대상 스트레스 사전 스크리닝 및 맞춤형 사운드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