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모델 개발

R&D Lab

R&R&D(Research & Development) Lab은 문제 해결의 ‘Last Mile’이 어디인지 찾아가는 과정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프로젝트를 연구하고, 신속하게 기획, 개발, 시도합니다.

문제를 겪는 당사자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해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직접 실행해 볼 수 있는 가용 범위 내 자원과 솔루션을 기반으로
작은 프로젝트를 빠르게 실행하며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나갑니다.

사업 연도

R&D Lab in 2024

  • 1 사회문제 해결 모델 최적화 7개

    ● 시각장애 학생 인터넷 강의 접근성 프로젝트(2023~)
    시각장애 학생의 인터넷 강의 학습환경에 맞게 개발한 1) 텍스트 대체자료와, 2) 해당 자료를 강의 재생 중 정확한 타이밍에 읽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확장 프로그램을 실제 시각장애학생들에게 제공했다. 학생들이 10개월 이상 인터넷 강의로 꾸준히 학습하며 대체자료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까지 습득하고, 대체자료 중 필요한 구간만 선택해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료의 제작 방식을 보다 체계화 하고, 봉사활동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제작 비용과 시간을 효율화하고 있다.

    ● 점자 학습 장난감 프로젝트(2023~)
    시각장애 아동들이 재미있게 점자 읽기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손끝 감각 연습 장난감 ‘슬라이닷’을 개발하고 있다. 작년에 개발한 프로토타입에 이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최적화하고 있다. 하드웨어의 경우, 소재는 아크릴 → 브릭, 전용 기판·부품은 아두이노 → 중고 핸드폰으로 바꾸었다. 소프트웨어의 경우, 친밀감>재미>습관을 쌓기에 집중해 전용 앱을 개발했다. 유저 테스트를 통해 슬라이닷의 점자 학습 효과를 확인했으며, 한글 점자 학습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일상 노출을 높일 수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작업을 진행 중이다.

     

    ● 영케어러 자립지원 탐색 프로젝트(2023~)
    1~ 2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영케어러가 온전히 자신의 ‘미래 준비’에 몰입할 수 있는 시간과 역량 개발을 위한 지원금을 제공했다. 이를 통해 돌봄에 맞춰져 있던 우선순위가 미래 준비로 바뀌고, 실제로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세팅했다. 이와 더불어 변동성 높은 돌봄 환경에서 목표를 포기하지 않도록 세부 계획 설정과 시간관리 교육 포함한 코칭을 제공하였다. 명확해진 목표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버추얼 오피스 시스템을 활용하여 집중 관리하며, 영케어러가 돌봄과 함께 미래 준비도 병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해 가고 있다.

     

    ● 생계형 알바 청년 직업준비 강화 프로젝트(2022~)
    경제적 어려움으로 생계형 아르바이트와 직업 준비를 병행하는 청년들의 습관 형성을 돕는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스스로 정한 미션을 완료하면 리워드를 주는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실험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준비 시간을 확보하는 시간 관리와 커리어 코칭, 실질적 가이드를 지원하는 현직자 멘토링, 번아웃 관리 역량을 기르는 심리 코칭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청년들이 장기적인 목표에 집중하며 매일 1시간 이상 책상에 앉는 습관을 형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가고자 한다.

     

    ● 어댑핏 스튜디오 프로젝트(2022~)
    장애인 PT 스튜디오 ‘어댑핏 스튜디오-서울점’을 2022년 말 오픈해 운영해오고 있다. 누적 이용 회원은 329명으로(’24년 12월 말 기준) 전년 대비 2.3배 상승했으며, 이 중 90% 이상이 장애나 질환을 갖고 있는 고객이다. 장애인의 신체적 특성 및 운동수행 능력 등을 파악해 맞춤 운동을 제안하는 어댑피팅 서비스, 다양한 장애 유형이 혼합된 그룹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스튜디오를 기반으로 다양한 실험을 거듭하며 장애인 PT 스튜디오의 지속 가능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다.

    ● 소방관 심리상담 문턱 완화 프로젝트(2021~)
    간편한 접수 절차,  익명 신청 등 소방관이 상담에 대해 갖고 있는 심리적 부담을 낮출 수 있는 모델을 정립해가고 있다. 특히 PTSD로 인한 우울, 불안감, 무기력 등 전문가와의 오랜 호흡을 통한 문제 해결을 위한 장기상담(10회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특정한 문제 해소를 위한 단기상담(5회기)으로  개별 필요에  맞춘 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만족도를 높였다. 또한 상담 종료 후 1년 간 지속 관리를 하며 일상에서 주기적으로 상담을 받으며 마음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앞으로는 안정된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수도권 중심에서 지역으로 프로그램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 에듀모아_점자 문제집 검색 개선 프로젝트(2021~)
    시각장애인 학습 정보 포털 ‘에듀모아’를 개발해 운영·관리해오고 있다. 시각장애인의 사용 편의를 고려해 검색 로직 정확도를 높이는 등 지속적으로 인터페이스를 최적화하고 있다.